'23년 3월 기준 화장품 업종 주요 지표를 리뷰해 보겠습니다.
1. 화장품 업종의 업황판단은 4가지가 중요합니다. 하나는 면세점을 포함한 국내 매출과, 해외 매출의 비중입니다. 두번째는 오프라인 채널에서 온라인 채널로의 변화이며, 세번째는 럭셔리 고가 브랜드의 매출 확대이며, 마지막은 중국, 일본, 미국향 화장품 매출 회복입니다.
2. 면세점 매출 확대는 매출 비중이 높은 화장품의 매출 증가로 이어집니다. 현 시점 매출은 아직 부진합니다. 럭셔리 고가 브랜드 매출은 아직 부진한 모습이며, 무엇보다 중국, 일본, 미국향 화장품 수출 부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3. 긍정적인 시그널은, 오프라인 매장을 정리하고 디지털 판매로 전환하면서 비용절감과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일본인 방문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 중국인 방문자 수의 본격적인 회복을 기대하는 시기입니다.
4. 화장품 기업의 성수기는 1분기 입니다. 현 시점 지표는 1분기 실적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기대감 보다는 실적 회복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빼앗긴 화장품에도 봄은 오는가
https://youtu.be/Uom9OvYAdMY
'23년 3월 기준 화장품 업종 주요 지표를 리뷰해 보겠습니다.
1. 화장품 업종의 업황판단은 4가지가 중요합니다. 하나는 면세점을 포함한 국내 매출과, 해외 매출의 비중입니다. 두번째는 오프라인 채널에서 온라인 채널로의 변화이며, 세번째는 럭셔리 고가 브랜드의 매출 확대이며, 마지막은 중국, 일본, 미국향 화장품 매출 회복입니다.
2. 면세점 매출 확대는 매출 비중이 높은 화장품의 매출 증가로 이어집니다. 현 시점 매출은 아직 부진합니다. 럭셔리 고가 브랜드 매출은 아직 부진한 모습이며, 무엇보다 중국, 일본, 미국향 화장품 수출 부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3. 긍정적인 시그널은, 오프라인 매장을 정리하고 디지털 판매로 전환하면서 비용절감과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일본인 방문자 수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 중국인 방문자 수의 본격적인 회복을 기대하는 시기입니다.
4. 화장품 기업의 성수기는 1분기 입니다. 현 시점 지표는 1분기 실적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기대감 보다는 실적 회복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빼앗긴 화장품에도 봄은 오는가
https://youtu.be/Uom9OvYAdMY